-
회계쟁이가 알려주는 재경관리사 원가회계_원가회계란?지식 2023. 4. 23. 14:05반응형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제조업체에서 원가회계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김먕구입니다.
최근에 재경관리사 시험을 합격하면서 원가회계에 대해 복습도 할 겸 현업을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의 시선에서 원가회계 에 대한 정보공유를 드리고 싶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저의 글이 재경관리사 시험을 준비하고있는 수험생분들께 도움이 됬으면 좋겠습니다😊😊
원가회계에 대해서 공부하려면 우선 원가회계가 뭔지부터 알아야겠죠?
목차
- 원가회계란?
- 원가의 분류
원가회계란?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에서 필요로 하는 원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조활동과 영업활동에 관한 원가자료를 확인, 분류, 집계하는 회계분야이다.
사전적인 정의는 이렇게 나와있습니다. 쉽게 생각해보면 만약, 내가 회사의 사장이라면 우리회사의 제품이 어떤 제조활동을 통해서 얼마의 제조원가가 나왔는지 그리고 어떤 판매과정을 거쳐서 판관비(판매비 및 관리비)는 얼마나 나왔는지를 파악해야 해당 제품에 대한 적정한 판매가격을 결정할 수 있겠죠?
그런 의미에서 원가회계는 내부이용자(경영자 등)에게 유용한 회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내부이용자에 그치지 않고 외부이용자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외부이용자가 회사의 재무적인 수치를 알기위해선 주로 dart사이트를 통해 공시된 자료를 확인함으로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원가회계가 dart사이트와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
dart 사이트에는 회사의 재무제표가 올라가죠. 재무제표 중에서는 손익계산서가 있는데 거기 있는 매출원가가 제조원가명세서를 통해 계산되기때문에 외부이용자에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말이 조금 어렵죠? 이걸 이해하려면 제조원가명세서에 대해 우선 말씀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제조원가 명세서는 당기제품제조원가를 구하기 위한 명세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당기제품제조원가는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계산되는됩니다.
직접재료비 + 직접노무비 + 제조간접원가 = 당기 총 제조원가
기초 재공품 + 당기 총 제조원가 - 기말 재공품 = 당기 제품제조원가
공식이 엄청 복잡하죠? 쉽게 풀어서 얘기 하자면 우리가 제품하나를 만들기 위해서는 원재료(직접재료비)가 필요하고 그걸 가공하는 노동자(직접노무비)가 필요하고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공장과 기계(제조간접원가)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위 세 가지를 합쳐서 당기 총 제조원가를 구합니다.
또, 우리가 재료 수급이나 노동력이나 여러 문제로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고 생산하는 과정중에 있는 것들도 있을 수 있겠죠 이런 것들을 재공품(wip: work in process)라고 합니다. 기초(1/1)에 만들어놨던 재공품에서 기말(12/31)에 남아있는 재공품을 빼면 그동안 제품으로 대체된 재공품을 알 수 있겠죠. 그래서 위에서 계산했던 당기 총 제조원가에서 기초 재공품을 더하고 기말 재공품을 빼서 당기 제품제조원가를 구합니다.
이렇게 구한 당기 제품제조원가에서 기초에 있던 제품재고를 합하고 기말제품과 빼면 판매된 제품이 나올 것이고 이 값이 매출원가가 되는것입니다.
기초 제품 + 당기 제품 제조원가 - 기말 제품 = 매출원가
그래서 결국 원가회계는 재무회계(외부이용자를 위한 회계), 관리회계(내부이용자를 위한 회계)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원가는 어떻게 분류되고 있을까요?
원가의 분류
원가행태에 따른 분류 : 변동원가, 고정원가
추적가능성에 따른 분류 : 직접원가, 간접원가
제조활동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 제조원가, 비제조원가
수익과의 대응관계에 따른 분류 : 제품원가, 기간원가
원가행태에 따른 분류 : 변동원가, 고정원가
변동원가는 조업도에 따라 총 원가가 변동하지만 단위당원가는 일정한 원가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수주의 양에 따라 생산하는 제품의 수가 달라지겠죠? 그러면 총 재료비와 총 노무비가 조업도에따라 변동할 것입니다. 하지만 단위당 재료비나, 단위당 노무비는 여전히 동일하겠죠 우리가 일을 많이 한다고해서 시급이 달라지지 않는 것 처럼 말이죠ㅠ
반대로 고정원가는 조업도에 따라 총원가가 일정하지만 단위당원가는 변하는 원가를 말합니다.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기계가 있어야하죠 이 기계에 대한 임차료나 감가상각비들은 생산을 많이하든 적게하든 총원가가 일정할 것입니다. 하지만 단위당으로 따지면 조업도의 증가에따라 점점 감소하겠죠.
추적가능성에 따른 분류 : 직접원가, 간접원가
이건 말그대로 특정 제품을 만드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한 원가 간접적으로 관여한 원가 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내가 제품을 만들때 들어간 직접재료원가나 직접노무원가는 직접원가가 될 것이고, 전력비나 가스수도료 감가상각비 등 특정 제품에 얼마의 원가가 들어갔는지 추적하기 힘든 경우 간접원가로 분류 됩니다.
제조활동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 제조원가, 비제조원가
제조원가는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로서 제조원가 3요소로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조원가의 3요소 :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
비제조원가는 주로 판관비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수익과의 대응관계에 따른 분류 : 제품원가, 기간원가
제품원가는 판매시점에 매출원가로 비용계상하는 원가를 말합니다. 제품을 생산해서는 재고자산(자산)으로 계상해 뒀다가 판매시점에 매출원가(비용)로 인식 하는 원가 입니다.
기간원가는 발생즉시 비용화하는 원가로서 판관비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회계팀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의 시점에서 쓴 글입니다. 복잡한 원가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쉽게 이해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아직 부족한 점이 많기때문에 같이 공부하면서 성장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다음번엔 2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해당 포스팅의 내용은 삼일회계법인 저 재경관리사 원가회계 도서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쟁이가 알려주는 재경관리사 원가회계_원가요소별 차이분석 (0) 2023.04.26 회계쟁이가 알려주는 재경관리사 원가회계_원가계산방법 (2) 2023.04.25 회계쟁이가 알려주는 재경관리사 원가회계_원가의 배분 (0) 2023.04.24 3년차 회계팀 직장인이 말해주는 중견기업 회계팀 입사시 필요스펙 정리(+면접꿀팁) (2) 2023.04.24 디지털 노마드를 향한 첫걸음! (1) 2023.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