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회계쟁이가 알려주는 재경관리사 원가회계_원가의 배분
    지식 2023. 4. 24. 23:19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제보다 나은 오늘을 살기위해 노력하는 직장인 김먕구입니다.

     

    오늘은 원가의 배분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썸네일이미지
    썸네일 이미지

    목차

    • 원가의 배분
    • 보조부문 원가배분방법
    • 생산형태에 따른 원가의 분류

    원가의 배분이란?

    공통의 원가를 특정 배부기준에 따라 원가대상에 합리적으로 배부해주는 과정을 말합니다.

    제조업체에서 물건을 만들때 직접 물건을 만드는 제조부문이 있을것이고, 직접적으로 관련지을 수 없는 보조부문도 있겠죠? 대표적인 보조부문의 예로는 전력부문, 수선부문이 있을 것입니다. 보조부문도 특정 제품에 직접적으로 추적할 수 없을 뿐이지 당연히 제조원가에 해당됩니다. 정확히는 제조간접원가라고 합니다.

     

    따라서 특정제품의 원가를 구하려면 보조부문원가를 제조부문에 배부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몇대몇 계산해서 보조부문의 원가를 제조부문에 넣으면 당연히 안되겠죠? 그래서 합리적인 기준으로 배부하여 전체적인 원가를 구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합리적인 기준이라는게 과연 무엇일까요?

     

    원가배분기준

    인과관계기준              : 가장 이상적인 원가배분기준, 원가대상과 배분대상원가간의 인과관계에 따라 원가를 배분함.

    수혜기준                     : 원가대상이 공통원가로부터 제공받은 경제적 효익의 크기에 따라 원가를 배분함.

    부담능력기준              : 원가대상이 원가를 부담할 수 있는 능력에 따라 원가를 배분함.

    공정성과 공평성 기준 : 공정성과 공평성에 의하여 공통원가를 원가배분대상에 배분함.

    원가배분기준에는 위와 같이 4가지 기준이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합리적인 기준에 해당하는 원가배분기준에서 가장 이상적인 기준은 인과관계기준입니다. 예를 들자면 전력부문의 원가를 제조부문에 배부할때 전력사용량을 기준으로 배부하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나머지 기준들은 한번 읽어보면 어느정도 이해될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것들이 있구나.. 정도로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보조부문원가 배분방법

    보조부문원가 배분방법에 대한 계산문제가 꼭 나오기때문에 그만큼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배분방법에는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관계 인식정도에 따라 직접배분법, 단계배분법, 상호배분법으로 나뉩니다.

     

    직접배분법 :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를 완전히 무시하고 보조부문원가를 각 제조부문이 사용한 용역의 상대적 비율에 따라 직접 배분하는 방법.

     

    단계 배분법 : 보조부문간의 배부순서를 정하여 그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보조부문원가를 다른 보조부문과 제조부문에 배부하는 방법.

    (주의. 보조부문간의 배분순서가 적절하지 않으면 원가배분에 왜곡 발생.)

     

    상호배분법 : 보조부문간의 상호 관련성을 모두 고려하는 배분방법.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관계 인식정도 를 부등호로 나타내면   "상호배분법>단계배분법>직접배분법" 이렇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생산형태에 따른 원가 분류 : 개별원가계산 vs 종합원가계산

     

    개별원가계산

    이름만들어도 개별아이템에 대한 원가계산방법이라는 느낌이 확들죠?

    맞습니다.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원가계산 방법입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조선업, 건설업 등 개별적인 수주에 맞춰서 제품을 생산하는 업종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개별원가계산에서는 개별작업별로 원가가 집계되므로 직접원가, 간접원가의 구분이 중요함.)

     

    종합원가계산

    종합원가계산은 개별원가계산과 반대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개별원가가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했다면, 종합원가계산은 소품종 대량생산에 적합한 원가계산 방법입니다. 대량생산을 하는 대부분의 공장에서 사용하는 원가계산법입니다.

    (공정별로 원가 집계 후 총산출물의수량으로 나누어 원가계산.) 

     

    생산형태에 따라 위와 같이 개별원가계산, 종합원가계산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요, 제가 다녔던 대부분 현장에서는 종합원가계산을 사용하여 원가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아무래도 일반 제조업체의 경우 특정아이템 하나씩 원가를 산출하는데 실익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름만들어도 차이점이 명확이 구분되시죠? 두 가지 계산법의 장단점 또한 각각 반대라고 생각하시면서 보시면 이해하시는데 편하실 것 같습니다.

     

    개별원가계산의 장단점

     

    제품별 정확한 원가산출이 가능합니다.

    제품별 손익분석에 용이합니다.

    제품별 원가산출 및 손익분석에 용이하다보니 표준원가와 실제원가를 비교하여 목표를 수립하기 용이합니다.

    분석하는데 비용이나 시간이 많이 듭니다.

    원가계산하는 과정이 복잡합니다.

     

    종합원가계산의 장단점

     

    비교적 간단한 계산절차로 인해 비용이나 시간이 절약됩니다.

    단순한 계산과정으로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원가관리를 제품이 아닌 공정별로 하기때문에 책임소재를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생산형태에 따른 원가의 분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현업의 담당자가 되어 업무를 수행한다고 생각하면서 공부하시면 훨씬 이해하시는데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같은 경우도 업무를 하면서 공부를 하다보니 이해가 잘 되는 부분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재경관리사는 문제은행식으로 출제되는 시험이다보니 기출문제풀이가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만 무작정 외운다고 다음날에 기억나는건 몇개 없듯이 그에 앞서 이론적인부분을 이해하는것 역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해당 글을 포스팅하면서 원가회계에 대해 다시 알게되는 부분이 많았고 업무를 하면서 이론에서 배운부분이 보일때 알 수 없는 희열(?)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ㅋㅋ. 저도 한단계씩 성장하는 것 같아서 원가회계에 대해 여러분들께 공유드리는 이 시간이 가치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그럼 조만간 3편으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해당 포스팅의 내용은 삼일회계법인 저 재경관리사 원가회계 도서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