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계쟁이가 알려주는 재경관리사 원가회계_원가계산방법지식 2023. 4. 25. 21:30반응형
안녕하세요 어제보다 더 성장한 직장인 김먕구입니다.
오늘도 어김없이 열일하고 돌아와서 블로그 포스팅을 하는 중입니다.
퇴근하면 저도 편하게 쉬고싶은 마음이 굴뚝같고,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것이 힘듭니다. 그럴수록 전에 말씀드렸듯이 빨간모자 선생님의 명언을 떠올립시다. 그러니까 지금바로 해야겠죠?
쉬고싶어하는 마음을 바로잡고 저와같이 공부합시다!
오늘은!! 원가계산방법에 대해 공부해볼까 합니다.
목차
- 서론
- 실제원가계산, 정상원가계산
-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 표준원가계산
여러분 만약 제품의 원가를 구할때 수주받고 제조해서 납품하기에도 일정이 빠듯한데 일일히 재료원가는 얼마고 노무원가는 얼마고 제조간접원가는 얼마고... 이렇게 계산해서 분석을 완료하고 납품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원가가 이정도에 형성되니까.. 목표 영업이익률에 따라 우리는 이정도 가격을 받아야해! 근데 이 가격을 받으면 경쟁사와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까? 이런 분석할 시간에 경쟁사는 이미 납품완료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실제원가계산 뿐만아니라 정상원가계산과 표준원가계산을 씁니다.
실제원가계산, 정상원가계산
실제원가계산은 앞서 말씀드렸듯이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 모두를 실제원가로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시간은 오래걸리겠지만 다른 계산방법보다 당연히 정확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상원가계산은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는 실제원가로 측정하되 제조간접원가는 미리 정해놓은 예정배부율에 의해 배부된 원가를 바탕으로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정상원가계산 에서는 제조간접원가만 예정배부율에의해 원가를 배부한다고 했죠? 여기서 배부율이란 조업도 한 단위당 제조간접원가 예산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예정배부율이란 무엇일까요? 네, 예정조업도 한 단위당 예정 제조간접원가 예산을 뜻합니다.
예를 들자면, 연초 계획을 짤때 회계팀에서 연간 제조간접원가예산으로 5천만원을 예상하고, 직접노무시간은 1,000시간으로 예상했다고 생각해봅시다. 그러면 예정배부율은 5천만원/천시간 = 시간당 5만원이 되겠죠.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위와같이 예정배부율을 구해서 실제조업도를 구해주면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액이 나올것입니다.
(예. 실제 작업시간이 100시간이었다면,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액 = 100시간*예정배부율(시간당 5만원) = 500만원)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예상치일뿐이고 실제로 작업이 완료되고 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을 구해보면 당연히 차이가 있을 수 있겠죠? 그래서 아래와 같이 그 둘의 차이를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 >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액 : 과소 배부
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 <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액 : 과대 배부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액이 실제발생액보다 낮다면 "우리가 제조간접원가 실제원가보다 예정액을 과소배부했어"라는 표현을 하고 반대의 경우"우리가 제조간접원가 실제원가보다 예정액을 과대배부했어"라는 표현을 합니다. 이해되시죠?
이러한 차이부분은 추후에 조정을 해줘야하는데요. 비배분법(매출원가조정법, 기타손익법), 비례배분법(총원가 비례배분법, 원가 요소별 비례배분법)을 통해서 배부차이를 조정해주는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여기서 매출원가조정법을 보자면 과소배부액은 예정액이 실제치보다 낮기때문에 매출원가에서 가산하여 조정해주고 과대배부액은 예정액이 실제치보다 높기때문에 매출원가에서 차감해 줌으로써 조정을 해줍니다.
표준원가계산
표준원가계산은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 모두 표준원가로 계산하는 방법으로 제가 지금 하고 있는 업무 분야이기도 해서 반갑네요 ㅎㅎ
특정제품 A 표준원가의 구성
직접재료원가 : 표준수량 * 표준가격
직접노무원가 : 표준시간 * 표준임률
변동제조간접원가 : 표준시간 * 표준임률
고정제조간접원가 : 표준시간 * 표준임률
결국, 위 4가지 원가를 합해야 표준원가가 된다는 의미입니다.
말만들어도 표준이라는게 도대체 뭔데??라는 의문을 갖게되죠. 표준원가는 원가관련 담당자들이 모여서 사전에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미리 설정해둔 값인데요. 아무리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라고해도 외부사람들이 보기에 객관적으로 보이기는 힘들 것 같고, 이해도 안될뿐더러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비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표준원가를 왜 설정하는 걸까요? 지금까지 표준원가 산출업무를 하면서 생각한 바로는 표준원가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내부의사결정을 거쳐 판매를 할 수 있게하고, 실제원가 발생시 차이분석을 통한 미래 경영전략 수립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던 실제원가, 정상원가는 어찌됬든 실제원가를 바탕으로한 원가계산이다보니 그만큼 적시성이 부족할것이고, 항상 경쟁사와 고객을 두고 경쟁을하는 입장에서보면 큰 손실이 될 것입니다.
그렇기에 미리 표준원가를 설정해둠으로써 즉각적인 원가분석을 통한 경쟁사 대비 저렴한 가격을 제시하면서 우리가 목표한 영업이익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데 표준원가가 큰 도움이 되죠. 그리고 실제원가와 분석하면서 경영상황에 맞게 표준원가를 계속 변동시켜간다면 더욱더 훌륭한 경영실적을 낼 수 있을 것입니다.
익숙한 분야가 나와서 저도모르게 신이나서 말씀드린것 같네요 ㅎㅎ
표준원가라는게 어쩔수 없이 러프한 부분이 있으면서도 지속적인 데이터 관리를 통해서 실제원가와 분석을 거치면서 회사의 실적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책임감도 느끼지만 업무적인 재미도 느끼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해당 포스팅의 내용은 삼일회계법인 저 재경관리사 원가회계 도서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쟁이가 알려주는 재경관리사 원가회계_변동원가계산 (0) 2023.04.27 회계쟁이가 알려주는 재경관리사 원가회계_원가요소별 차이분석 (0) 2023.04.26 회계쟁이가 알려주는 재경관리사 원가회계_원가의 배분 (0) 2023.04.24 3년차 회계팀 직장인이 말해주는 중견기업 회계팀 입사시 필요스펙 정리(+면접꿀팁) (2) 2023.04.24 회계쟁이가 알려주는 재경관리사 원가회계_원가회계란? (0) 2023.04.23